Photo by Moyan Brenn 우리의 역사와 개개인의 경험은 수많은 투사의 예들로 채워져 있다. 우리가 하는 부정적 투사는 우리가 매우 싫어하는 사람이나 대화하기 무척 어려운 사람, "함께 있기"가 아주 힘든 사람들을 통해 뚜렷하게 인지할 수 있다. 전쟁, 인종차별, 생태계 위기, 성적 억압 등 집단적으로 일어나는 이런 모든 문제의 실질적인 뿌리는 심리학적 기재로 설명할 수 있다. 우리는 내면의 삶과 특질의 일부를 부인하며 살고 있고 자기 안에서 부인된 그런 점들을 우리 주변에 있는 다른 사람에게서 보게 된다. 예를 들면 인종차별이 드러나는 곳에서 항상 덜 인간적으로 보이는 사람에게 투사가 일어나는데, 이는 자신의 인간성 안에서 가장 억압하고 부인했던 점이 분명 덜 인간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으며,..
Photo by Alex Belyaev ...궁극적으로 빛과 어두움은 균형을 이룰 수 있고 또 지속도 가능하다. 자연에는 빛과 어두움, 창조와 파괴, 위와 아래, 남성과 여성 등의 대극이 공존한다. (인간 언어에서 후자에 속하는 어두움, 파괴, 아래, 여성 등의 특질이 본래의 가치를 잃게 되면서 우리는 그것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잃어버렸다. 우리들이 가진 철학이 언어의 균형을 잃게 만든 것이다.) 우리가 어떻게 해야 어두움을 말하면서 빛을 말할 때와 같은 위엄과 가치를 지니게 할 수 있을까?) ...자신의 특질 중에서 어두운 면을 부정하고 거부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내면의 다른 곳에 그 어두움이 저장되고 축적된다. 이것이 나중에는 우울한 기분, 육체적 심리적 질병, 혹은 무의식적으로 고무된 ..
Photo by David Telford 완벽에 가까운 성과를 내어 감탄을 자아내는 사람들을 두 부류로 나눠보면 크게 창조적인 사람과 강박적인 사람으로 나뉩니다. 창조적인 이들이 완벽에 가까운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는 원동력은 주로 호기심이나 독창성, 신선한 발상 등등입니다. (...) 그들에게 완벽이란 뭉클한 열정과 즐거움, 그리고 그들의 스타일에 대한 확고한 자부심에서 우러나온 것이지, 완벽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반면 강박적인 사람이 탄생시키는 완벽은 그 뿌리부터 다릅니다. 창조적인 사람에게 있어 완벽주의는 독창적인 스타일을 완성하기 위한 윤활유에 불과하지만 강박적인 사람에게 완벽주의는 자신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주인공입니다. 덕분에 정작 목표가 되어야 할 프로젝트에는 전혀 상관이..
...심 봉사가 시도하는, 자신의 어두움을 타개하려는 해결책에 주목해 보자. 심 봉사가 추구하는 해결책은 공양미 삼백 석을 절에다 시주하는 것이다. 심 봉사의 이런 선택은 완전히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 눈을 뜨고 싶은 욕망만 가득할 뿐 현실적인 가능성이나 공양미 삼백 석 시주가 눈을 뜰 수 있는 방책인지에 대한 질문조차 해 보지 않는다. 심 봉사가 순식간에 시주 결정을 한 것에서도 볼 수 있듯, 그는 한꺼번에 오랜 어두움을 해결하려 든다. 그야말로 한판 뒤집기이고 소위 말하는 대박을 꿈꾸고 있다. 그러나 오래 묵은 내면의 심리 상황을 일순간에 해결할 묘책은 없다. ...이 영화(현 위의 인생)에서 거리의 악사가 겪어낸 무수한 세월과 인고의 나날들, 그리고 천 번 현을 끊을 만치의 필생의 노력이 바로 내..
경고 : 이글에는 만화 "몬스터"의 스토리에 대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언젠가 꿈에 나왔던 그림 때문에 떠오른 히틀러와 몬스터의 요한 때문에 몬스터를 다시 읽는다. 융 학파의 꿈에 대한 글들을 많이 읽다가 몬스터를 다시 읽으니 만화 내용이 이렇게 다르게 읽히는 구나. 캐릭터들이 서로가 서로의 그림자로서 엮겨있는 것이 보인다. Dr.텐마는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그러면서 환자들의 감정까지도 보살피는 진정한 명의다. 그토록 치우쳐있는 선한 사람이기에 "요한"은 그의 그림자를 투사할 완벽한 대상이 된다. 사람의 생명을 보잘 것 없이 여기고, 사람을 아무렇지 않게 죽이며, 그들의 공포를 즐기는. 텐마의 직업인 의사에게는 특히 뇌 수술을 하는 의사로서는 한 생명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역할이 주어진다. 텐..
Photo by Nick Kenrick "저는 이 세계와 모든 것이 자연의 법칙에 따라서 움직인다고 믿습니다. 저는 저의 지능을 이용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활용하여 신의 본성과 실체와 축복받는 삶의 길을 발견하려고 합니다. 제가 전에도 선생님에게 이 말씀을 드렸는데요. 안 그런가요?" 랍비 모르테라는 두 손으로 머리를 감싸고 고개를 끄덕였다. "그런데 선생님은 오늘 랍비들이 주는 장학금으로 저의 관점을 확인하거나 부정하면서 일생을 보내라고 제안하십니다. 그것은 제 길이 아니고, 저는 그 길을 가지도 않을 것입니다. 랍비의 권위는 진리의 순수성에 기반을 두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다만 수세기 동안 내려온 미신적인 학자들이 표현한 것에 안주하고 있습니다. 그 학자들은 지구가 편편하고 태양이 주위를 돌고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