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심 봉사가 시도하는, 자신의 어두움을 타개하려는 해결책에 주목해 보자. 심 봉사가 추구하는 해결책은 공양미 삼백 석을 절에다 시주하는 것이다. 심 봉사의 이런 선택은 완전히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 눈을 뜨고 싶은 욕망만 가득할 뿐 현실적인 가능성이나 공양미 삼백 석 시주가 눈을 뜰 수 있는 방책인지에 대한 질문조차 해 보지 않는다.


심 봉사가 순식간에 시주 결정을 한 것에서도 볼 수 있듯, 그는 한꺼번에 오랜 어두움을 해결하려 든다. 그야말로 한판 뒤집기이고 소위 말하는 대박을 꿈꾸고 있다. 러나 오래 묵은 내면의 심리 상황을 일순간에 해결할 묘책은 없다. 


...이 영화(현 위의 인생)에서 거리의 악사가 겪어낸 무수한 세월과 인고의 나날들, 그리고 천 번 현을 끊을 만치의 필생의 노력이 바로 내면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가져야 할 진정한 자세이다. 내면의 깊이를 탐색하는 데 결코 지름길이란 없으며, 심 봉사가 추구하는 인스턴트 해결책은 더더구나 존재하지 않는다.


앞서 심 봉사가 추구하는 순간의 해결책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했다.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약속은 약속의 대가에 대해 자연히 무의식적이다. 심 봉사는 공양미 삼백 석 시주를 약속하는 순간 자신이 치러야 할 대가에 대해서는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흔히, 쉽게 모든 난관을 극복하는 비법이 있다는 유혹에 사로잡혀서 아무 대가도 지불하지 않으면서 혹은 아주 작은 것만을 내어주고 큰 것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심 봉사가 지불해야 할 대가는 딸의 죽음이다. 이 이미지는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선택할 때 지불해야 할 값은 엄청나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준다.


...앞서 심 봉사의 아내가 죽는다는 사실은 심 봉사가 내면의 여성성과 단절됨을 의미한다고 했다. 그리고 청이의 죽음이란 여성성이 존중되지 않는 극단적인 남성성 우세의 사회에서 어린 여성성은 이토록 쉽게 희생될 수 있으며 청이 이야기처럼 비극으로 끝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 주고 있다. 청이의 죽음으로 심 봉사는 어두움이 환하게 밝아지는 것이 아니라 더욱 짙은 어두움의 세계로 떨어지게 된다.


...우리의 일상에서는 남성성의 원리에 속하는 진보, 성장, 발전, 효율의 원리가 일방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대조적으로 여성성의 원리인 감정, 느낌, 무드, 의미, 가치는 훨씬 빈번하게 희생되고 있다. 자기 자신에게 진실로 물어 볼 일이다. 목표 달성, 혹은 생산량에 도달하기 위해 내면을 돌아보고 탐구하는 시간이 자주 우선순위에서 밀려나지 않는가? 외적인 가치를 주장할 때 내적인 감정들이 쉽게 묵살 당하지는 않는가? 이런 공간, 이런 삶의 방식에서 청이의 희생은 끊임없이 일어난다.


..남성성의 논리란 분할하고, 구분하고, 추상적이고, 이분법적인 것이다. 반면 여성성의 논리란 통합하고, 연결하고, 애매함을 허용하고, 역설적이다.


...여성성이 억압되고 미발달한 공간은 심 봉사의 이미지처럼 외롭고 공허하고 암울하며, 궁극적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상실하고, 한 생명체로 완전히 살아 있다는 느낌과 차단된다. 삶의 경이나 신비는 찾아볼 수 없고 자연히 생명과 생기가 빠진 기계 같은 모습이 되어 간다. 현대에는 여성도 남성도 무의미, 무가치, 공허함을 느끼는 현대병에서 예외가 아니다.


- 고혜경, "선녀는 왜 나무꾼을 떠났을까"


선녀는 왜 나무꾼을 떠났을까 - 10점
고혜경 지음/한겨레출판


내면의 깊이를 탐색하는 데 결코 지름길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우리 사회 내부에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지름길이란 결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과도 같다.


여성성이 억압되고 미발달한 공간, 삶의 방식.


개인의 내면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 안에서 그동안 희생당해온 여성성을 만나 손을 잡으려고 노력해나가야지만 나와 사회 전체가 눈을 뜰 수 있겠지.


2013.9.29


언제가 읽다가 누군가를 빌려주고 돌려받지 못한 책. 다시 사서 마저 끝까지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오랫동안 이어져온 우리의 옛 이야기들은 우리의 신화와 다름 없다. 개인의 꿈은 분석하는 관점으로 신화를 분석하여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메세지들을 전해주는 책이었다.


겉으로 드러난 옛 이야기의 "교훈"이 아니라, 그 안에 숨어있는 "무의식적 의미"들을 추출해내는 것이 훨씬 지금의 나에게 지금 우리 사회에 도움을 준다고 느껴졌다.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을 눌러주시고,

글쓴이와 얘기하고 싶으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로그인은 필요없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