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가 유튜브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건, 2019년이었습니다. 2019년 4월 24일부터 보드게임 관련 영상을 꾸준히 올리기 시작했고, 그렇게 1년 6개월이 지나자 2020년 10월 14일에 영상에 광고를 달 수 있는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outube Partner Program)에 참여할 조건이 충족되었습니다. 조건이란 구독자 수 1,000명 이상, 그리고 최근 1년간 사람들이 내 영상들을 시청한 시간이 총 4,000시간 이상일 것입니다. 이 조건이 달성되면 유튜브에서 메일로 알려줍니다.

유튜브가 구독자 1,000명을 축하한다면서 보내준 메일 (바나나는 왜 주는거지..)

 

그래서 10월 14일날 메일을 받자마자 바로 구글 광고 프로그램인 애드센스(Adsense)를 통해 개인 식별 번호(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요청했습니다. 유튜브에서는 수익을 주기 위해 채널 운영자 정보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이 PIN 번호가 써있는 편지를 받은게 11월 30일이었습니다. 어떤 사람은 3개월 만에 받은 적도 있다고 걱정했었는데, 한 달 반만에 받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날 바로 PIN 번호를 입력하고, 파트너쉽 프로그램 참여 신청을 했습니다. 그리고 다음날인 12월 1일에 승인되어서 그 날부터 유튜브 스튜디오의 채널 분석에 수익(Revenue)탭이 생겼고, 광고 수익 창출이 시작되었습니다.

 

 

"레이지니's 보드게임" 채널의 유튜브 스튜디오 채널 분석에서 수익 탭 화면

 

그 후로 유튜브 통계를 확인할 때마다 수익 부분도 꾸준히 살펴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낯선 용어들이 너무 많더군요. 그래서 이 용어들의 의미를 하나씩 확인해가면서, 동시에 "유튜브 영상의 조회수가 수익이 되는 과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글을 쓰는 "지금의 나"는 겨우 이해하고 정리가 되었지만, "미래의 나"는 까먹을 것이 분명하거든요. 미래의 나와 같은 현재의 누군가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우선 유튜브 영상에 광고가 붙는다고 해서, 사람들이 해당 영상을 볼 때마다 광고가 붙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면 사람들이 영상을 보는데 너무 방해가 된다고 느낄테니까요. 그래서 유튜브는 어느 정도 시간 간격을 두고 광고를 사람들에게 노출시킵니다.

 

그래서 정확히 말하면 광고 수익은 "조회수(Views)"가 아닌 "수익 창출 재생(Estimated Monetized Playbacks)"에서 나옵니다. 수익 창출 재생이란, 광고가 붙은 영상을 사람들이 시청한 횟수 입니다.

 

 

"레이지니's 보드게임" 채널의 28일 동안 영상별 조회수와 수익 창출 재생 비교

 

위의 통계는 11월 22일부터 12월 19일까지의 기록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영상마다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조회수의 60% 정도가 수익 창출 재생이 되는듯 합니다. 즉, 내 영상을 보는 사람들 중 10명 중에 6명은 광고가 붙은 영상으로 보게 된다는 거죠. (참고로 광고를 안보는 4명 중에는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자가 많습니다.)

 

표에서 맨 아래 있는 영상은 조회수가 980회인데 수익 창출 재생이 46회로 너무 차이가 큽니다. 그 이유는 이 영상이 수익 창출을 시작한 12월 1일 이전에 올려진 영상이면서 수익 창출 이후에는 이 영상을 시청한 사람이 많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다른 4개 영상은 꾸준히 검색 유입을 통한 조회수가 나오는 영상이라 차이가 큰 거죠.

 

유튜브 영상에도 꾸준히 사람들이 찾게 되는 스테디셀러와 특정 타이밍에만 반짝 인기가 있는 녀석이 있거든요. 


그러면 이제 어떤 광고가 내 영상에 나올까요? 

 

사실 이건 질문이 틀렸습니다. 왜냐하면 유튜브는 영상에 따라 광고를 정하지 않고, 보는 사람에 따라 광고를 정합니다. 즉, 같은 영상을 봐도 보는 사람이 다르면 다른 광고가 나옵니다. 영상은 그저 "광고가 들어갈 공간"에 불과한 거죠. 따라서 유튜브 광고 수익은 영상을 보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가"에 의해 결정됩니다.

 

 

"레이지니's 보드게임" 유튜브 시청자의 28일간 지역별 노출당비용(CPM)과 광고 노출수

 

제 유튜브 통계를 보시면, 제 유튜브 영상을 시청한 사람들이 어느 나라에서 접속해서 광고를 시청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광고 노출수(Ad Impressions)는 수익 창출 재생에서 사람들에게 보여진 광고의 갯수를 말합니다. 예를들어 봅시다.

 

만약 어떤 영상을 10명이 봤는데, 그 중 6명은 광고가 있는 영상을 봤고, 4명은 광고가 없는 영상을 봤습니다. 그리고 그 6명 중 3명은 영상에서 광고를 2개 보았고, 3명은 광고를 1개 봤다고 합시다. 이 경우, 조회수, 수익 창출 재생, 광고 노출수는 얼마가 될까요? 

조회수는 10회, 수익 창출 재생은 6회, 광고 노출은 9회가 됩니다. 

 

노출당비용(CPM: Cost Per Mille)은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를 1,000명에게 보여주는 대가로 유튜브에 지불한 광고비를 뜻합니다. 그렇게 광고주들이 지불한 모든 금액을 합한 것을 유튜브 광고 수익(YouTube Ad Revenue)이라고 하며, 노출당비용과 광고 노출수에 따라 정해집니다.

 

(유튜브 광고 수익) = (노출당비용) x (광고 노출수) / 1,000

 

다시 표를 보면 영상을 보는 사람들의 국가에 따라서, 그 사람이 보는 "광고"가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미국 사람이 제 영상의 광고를 본게 127번인데, 이 광고들의 가격은 대한민국에서의 광고보다 3배 정도 비싸죠. 대충 말하면, 미국 광고주들이 돈을 더 많이 쓴다는 말이죠. 물론 실제로는 더 복잡합니다. 유튜브는 시청자의 성별, 나이, 관심사 등 수집할 수 있는 모든 정보에 맞춰서 광고를 연결시키거든요.

 

예를 들면 광고주가 유튜브에 광고를 요청할 때 "책에 관심있는 20대 여성에게 우리 광고를 노출시켜달라"는 식으로, 특정 시청자 층을 골라서 광고 요청을 하는 거죠. 그리고 그 "특정 시청자 층"에 따라서 광고비가 달라지는 겁니다. 

 

이 때문에 같은 "조회수"라도, 광고 단가가 높은 시청자가 많은 영상은 몇 배나 큰 수익을 얻게 되죠. 광고주들은 결국 자신의 광고를 보고 "돈을 많이 써줄 사람"에게 더 많은 광고비를 지불하니까요. 자동차를 사려고 하는 사람이 음료수를 사려는 사람보다 광고비가 비싸겠죠.

 

 

소셜 블레이드에서 확인한 "레이지니's 보드게임" 채널의 일주일 예상 수익

 

위의 표는 소셜 블레이드(Social Blade)에서 제 유튜브 채널 기록입니다. 전세계 유튜브 채널들의 정보를 수집해서 예상 수익을 보여주는 사이트죠. 보시다시피 이 사이트에서는 예상하는 제 일주일 수익은 $1~$21입니다. 범위가 엄청 넓죠? 그 이유는, 이 사이트 운영자는 "광고 단가" 정보을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냥 CPM을 $0.25~$4.00로 추정해서 계산하고 있는 겁니다. 실제 유튜브 스튜디오에서 확인한 저의 일주일 추정 수익은 $10.53 였습니다. 범위 안에 들어가긴 했군요.


그럼, 유튜브 광고 수익이 내 수익인가?

 

아쉽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유튜브는 이 모든 것이 가능하도록 플랫폼을 제공하는 대가로 수수료를 가져갑니다. 유튜브 광고의 수수료는 광고비의 45%입니다. 엄청 많이 가져가죠? 하지만 유튜브만한 플랫폼이 사실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습니다. 받아들입시다.

 

 

"레이지니's 보드게임" 유튜브의 28일 동안의 영상별 추정 광고 수익과 유튜브 광고 수익

 

유튜브의 수수료를 제외하고 나에게 주어지는 광고비 추정 애드센스 수익(Estimated Adsense Revenue)라고 합니다. 여기에 추정 DoubleClick 수익(Estimated DoubleClick Revenue)를 더해서, 추정 광고 수익(Estimated Ad Revenue)라고 합니다. (추정 DoubleClick 수익은 정확히 어떤 값인지는 모르겠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댓글을 부탁드립니다.)

 

이 추정 광고 수익이 우리가 유튜브 영상 광고를 통해 얻는 최종 수익입니다. 


추정 광고 수익이 끝일까? 

 

아닙니다. 이건 "광고주"로부터 얻은 수익일 뿐입니다. 유튜브에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또 있습니다. 우선 "유튜브" 자체에서 우리에게 주는 수익으로 유튜브 프리미엄 수익(YouTube Premium Revenue)이 있습니다. 

 

유튜브에 매달 10,000원 안밖의 구독료를 내면 광고를 보지 않고 유튜브를 즐길 수 있습니다. 예전에 유튜브 레드(YouTube Red)라고 부르던 건데, 지금은 프리미엄이라고 부르고 있더군요. 이 구독을 한 사람들이 내 영상을 보았을 때, 일정한 돈을 유튜브가 줍니다. 

 

 

"레이지니's 보드게임" 채널의 영상별 유튜브 프리미엄 조회수와 수익 

 

유튜브 프리미엄 시청자의 조회수와 시청 시간은 따로 계산됩니다. 제 채널 통계만 봤을 때는 유튜브 프리미엄 수익은 조회수 1,000회에 약 500원 정도로 보입니다. 앞서 이야기했던 광고주가 지불하는 CPM에서 유튜브 수수료를 제외하더라도, 그보다 훨씬 낮은 편이네요. 추정 광고 수입 기준으로는 10% 정도였습니다. 앞으로 유튜브 운영 방향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있어서 지켜봐야겠습니다.


그 밖에 거래 수익(Transaction Revenue)이 있습니다. 이는 조회수와는 무관한 수익입니다. 거래(Transactions)란 실시간 방송에서 나오는 채팅 후원금인 슈퍼챗(Super Chat)과 채널에 정기적으로 후원하는 멤버십(Channel Memberships), 그 밖에 유료 컨텐츠들을 말합니다. 이들 금액에서 유튜브 수수료 30%를 제외한 금액이 거래 수익이 됩니다. 저는 아직 거래 수익은 발생한 적이 없네요. 


앞서 말한 수익들을 모두 합치면, 그게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받게 되는 최종 수익이 됩니다. 이게 추정 수익(Estimated Revenue)입니다.

 

(추정 수익) = (추정 광고 수익) + (유튜브 프리미엄 수익) + (거래 수익) 

 

추정 수익이라고 하는 이유는, 실제 수령하는 금액과 차이가 조금 날 수 있기 때문인데 그다지 큰 차이는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아마 환율 차이와 환거래 수수료 등으로 인한 차이가 아닐까 추측합니다.

 

또한 월말이 되면 유튜브 수익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데, 이는 유튜브에서 "무효 광고 트래픽"을 최종 조정하는게 월말이기 때문이 그렇습니다. 한 달 동안 쌓인 "수익 창출 재생"중에서 광고를 제대로 시청한 것으로 인정할 수 없는 경우들을 재확인해서 이들에 대한 광고비를 광고주에게 환불해주는 겁니다. 일종의 월말정산에서 추가로 세금을 내야하는 상황이라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최근 유튜브에서는 이런 작업을 한 달에 한 번이 아니라 평소에 좀 더 정기적으로 해나가도록 개선하고 있다고 하니, 앞으로는 월말에 수익이 감소한다고 착각하는 일은 점점 사라질 것 같네요.


그 밖에 제가 이야기 하지 않은 통계값들을 몇 개 설명해봅니다. 

 

추정 수익을 그냥 무식하게 "조회수"로 나누어주면 RPM(Revenue Per Mille)라는 값이 됩니다. 이게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조회수 1당 얼마 버냐"에 해당하는 통계입니다. 조회수 1,000회당 얼마를 버는지 평균을 낸 값이죠.

 

여기까지 글을 다 읽으신 분들은 느끼시겠지만, 이 RPM은 그다지 큰 정보를 주지 않습니다. 조회수만 가지고는 수익이 결정되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도 잘 모르는 분들이 대충 유튜브 수익에 대한 감을 얻기 위해서는 유용할 수 있겠습니다.

 

재생 기반 CPM(Playback-based CPM)은 CPM과 비슷한데, 광고 노출수가 아닌 수익 창출 재생으로 광고비를 계산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CPM 입니다. 

 

(유튜브 광고 수익) = (재생 기반 CPM) x (수익 창출 재생수) / 1,000

(유튜브 광고 수익) = (CPM) x (광고 노출수) / 1,000

 

CPM은 광고 노출 1,000회당 광고비이고, 재생 기반 CPM은 수익 창출 재생 1,000회당 광고비입니다. 이 차이는 영상 1개에 광고가 2개 이상 노출되는 경우들이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크리에이터 입장에서는 광고 노출수보다는 조회수와 직접 연결되는 수익 창출 재생이 좀 더 익숙하기에 만들어진 값 같네요.

 

이상이 제가 유튜브 수익 창출 3주 동안 경험하고 알아본 것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더 궁금하신 게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댓글